003.jpg


팔만대장경판 제작에 사용된 나무 8종 식재


합천 대장경테마파크에 가면 팔만대장경판 제작에 사용되었던 나무들을 볼 수 있다.


합천군은 테마파크 천년의 마당과 장경루 사이 공간에 팔괘형태로 대장경나무를 식재하였다. 팔만대장경판 마구리로 사용된 소나무를 중심으로 하여 산벚나무, 돌배나무, 층층나무, 고로쇠나무, 자작나무, 청단풍, 버드나무를 팔괘 형태로 배치하였다.


우리나라에는 1천여 종의 나무가 자라고 있지만 대장경판 새김에 알맞은 조건을 두루 갖춘 나무는 많지 않다. 나무질이 일정하고 세포의 크기가 들쭉날쭉하지 않으며 균일해야 한다. 또 너무 단단하여 글자 새기기가 어려워도 안 되며, 그렇다고 너무 연하면 글자 새기기는 쉬우나 나중에 인쇄할 때 손상되기 쉬우므로 적당하지 않다.


장경판전에 봉안된 경판을 대상으로 무작위 추출해서 일부를 표본 조사한 결과 수종은 산벚나무(64%), 돌배나무(15%), 거제수나무(9%), 층층나무(6%), 고로쇠나무(3%), 후박나무(2%), 사시나무(1%) 등으로 밝혀졌다.


팔만대장경판은 부처의 가르침을 새긴 나무판이다. 글자가 새겨진 몸체 부분과 손잡이에 해당하는 마구리를 포함해 길이는 68cm~78cm이며, 너비는 24cm정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이 없는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이다.


웅장함이나 정교한 조각으로 감탄을 자아내는 예술품이 아니라 민족적 자긍심을 가질 수 있는 인쇄문화의 정수가 녹아 있다는 점이 팔만대장경판의 값어치를 높이는 것이다.


합천군 관계자는 대장경나무를 통해 일반인들에게는 팔만대장경판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고, 학생들에게는 생생한 현장학습의 장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