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jpg


- 자연절벽 구릉에 토성(土城)과 목책(木柵)으로 둘러 싼 다라국성(多羅國城)-
- 가야인들의 대규모 토목공사의 전모 드러나-
- 제사유구와 대벽건물지 등의 내부시설 존재 확인-


합천군에서는 지난 25일 합천박물관에서 합천 성산토성 발굴 학술 자문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학술회의에서는 옛 가야지역의 자연절벽 구릉에 토성(土城)과 목책(木柵)으로 둘러싸여진 다라국의 도성(都城)을 확인하였다고 밝혔다.


군은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의 허가를 받아 지난 6월부터 오는 10월까지 약 4개월간 (재)동서문물연구원에 위탁하여 합천군 쌍책면 성산토성 발굴조사를 진행중이다. 이번 성산리 발굴조사팀은 가야지역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는 토성(土城)과 목책(木柵)으로 이루어진,  다라국 도성(都城)의 전모가 밝혀졌다면서 우리나라에서 이처럼 확실한 가야 도성의 전모를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고 밝혔다.


※목책(木柵) : 나무기둥을 세워 만든 방어시설


그동안 성산토성이라 불려져 왔던 다라국성은 자연절벽으로 이루어진 황강변의 독립구릉에 입지하고 있다. 서쪽의 절벽을 따라서는 목책이 설치되었고, 북쪽 능선을 따라서는 대규모 토성이 축조되어 있다. 동쪽부분은 2009년 1차 조사에서 성토부가 확인되었으며, 남쪽은 신라에 의해 쌓여진 석성이 잔존하고 있다.


목책시설이 확인된 서쪽 부분은 현재 부분적인 조사만 진행되었지만, 무질서한 소형 주혈군과 일정한 열을 이루는 대형주혈군이 함께 확인되고 있어 토성과는 다른 성벽시설이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토성은 현재 북쪽 능선 일부에서만 잔존하고 있는데, 이 구역은 옥전고분군에서 이어지는 능선자락에 해당되는 곳으로, 전체 구릉 중 방어에 가장 취약한 지점에 해당한다. 이 때문에 완경사면을 이루던 이곳에 대규모 성토를 통해 급경사면으로 만들고, 토성을 올려 외부에서 보면 최소 7~8m 이상의 높이를 가지는 성벽으로 축조하였다.
  이러한 토성 축조에는 고도의 축조기술과 대규모 인력동원, 체계적인 공정시스템이 확인된다.


먼저 토성 축조에는 다양한 축조재료가 사용되는데, 주목되는 것은 외부 저지대나 주변부에서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다량의 고운 흙과 석재, 기술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목탄(주로 나무와 풀을 태워 만든 것)과 유기물질, 소토 등이다. 이러한 재료를 활용해 축조하는데, 대체로 아래쪽으로는 고운 흙을 주로 사용하여 쌓아 올렸으며, 이 과정에서 목탄과 유기물질, 소토 등을 다량 활용하고 있다.


일부는 흙과 함께 섞어 쓰고, 일부는 교대로 쌓아 올리기도 하였다. 이에 비해 성벽 중상위에는 대형석재와 굵은 암반토를 포함하는 거친 흙을 많이 사용하는 모습을 보인다.  또 이러한 축조 중간단계에 다량의 탄화곡물을 놓아 두었는데, 일종의 제사행위로 추정된다. 성벽 내부의 곳곳에는 기둥을 심었던 흔적과 대형석축열이 성벽라인을 따라 전체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처럼 성벽의 축조에는 설계, 재료선택, 채취, 이동, 재가공, 축조, 지휘, 제사 등 다양한 작업공정과 공정별 분담시스템이 상정되므로, 향후 보다 심도있는 연구를 통해 고대 가야시기 다라국의 모습을 입체적으로 들여다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성 내부에는 2013년 조사에서 확인된 구릉정상부의 대벽건물지와 금번 조사에서 확인된 대규모 제사유구가 구역을 달리해서 확인되었다. 특히 제사유구는 중소형의 부정원형 구덩이가 여러 개 합쳐진 형태인데 다량의 유기물질을 태운 흔적이 확인되며 유구 내부에서는 머리와 손발이 깨져 나간 인물형 토우가 출토되어 제사유구로서의 성격을 뒷받침하고 있다.


※토우(土偶) : 토우란 흙으로 만든 인형이라는 뜻으로 어떤 형태나 사람, 동물을 본떠서 만든 토기를 말한다.  


오랫동안 다라국 관련 유적 조사를 진행해 온 경상대학교 조영제 교수(사학과 교수, 박물관장)는 “이로써 왕릉(王陵)과 왕성(王城)이 조합된 다라국성(多羅國城)의 경관이 완성되었다”고 평가하면서, “이번 조사성과를 바탕으로 다라국성을 포함하는 사적지 확대하는 등의 체계적인 유적 보호대책과 조사연구계획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며, 한편으로는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문화자원으로 개발해 지역문화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dsra.jpg